for Robot Artificial Inteligence

81. Robot Bounded in Circle

|

  • I expect this problem to be medium problem.

Intuition

  • Let chopper help explain.
  • Starting at the origin and face north (0,1), after one sequence of instructions
    1. if chopper return to the origin, he is obvious in an circle.
    2. if chopper finishes with face not towards north, it will get back to the initial status in another one or three sequences.

Explanation

  • (x,y) is the location of chopper.
  • d[i] is the direction he is facing.
  • i = (i + 1) % 4 will turn right
  • i = (i + 3) % 4 will turn left
  • Check the final status after instructions.

Complexity

Time O(N) Space O(1)

class Solution {
public:
    bool isRobotBounded(string instructions) {
        int x = 0, y = 0, i = 0;
        vector<vector<int>> d = {0, 1}, {1, 0}, {0, -1}, { -1, 0}; // 원래는 {} 하나 더 
        // facing : north, rigth, south, left
        for(char & ins : instructions)
        {
            if(ins =='R')
            {
                i = (i+1) % 4;
            }
            else if (ins =='L')
            {
                i = (i+3) % 4;
            }
            else
            {
                x += d[i][0], y += d[i][1];
            }
        }
        return x==0 && y==0 || i>0;

    }
};

Comment  Read more

싱가포르 vs 상해 vs 한국

|

취업의 시기에 함참 고민에 서 있습니다.

직장을 어디로 해야될까.

취업 및 거주에 싱가포르 vs 상해 vs 한국에 대해 나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고용 안전

한국 : O 상해 : X 싱가포르 : X

우선 우리나라는 근로자 보호에 대한 법이 강하여, 직원을 해고를 하기에는 쉽지 않습니다. 그에 비해 상해나 싱가포르는 성가위주의 환경으로 쉽게 해고를 할 수 있습니다. 다만 해고를 할떄 한달 전에 미리 통보를 하여 이직할 기회를 줍니다.

2. 대졸 초봉

한국 : 연 3500-4000만원 상해 : 월 1,5000RMB 싱가포르 : 월 3000-4000 SGD

싱가포르 > 한국 > 상해

신입 기준으로 싱가포르에서 일할 떄 월 300~400을 받고 일하는 것인데, 물가를 생각한다면 많이 받는 것이 아닙니다.

3. 연봉 상승률(신입 기준)

한국 : 평균 2~3 % 상해 : 평균 10 % 싱가포르: 평균 15~25%

고용 안전 + 초봉 높은 대신 한국은 연봉 상승률이 매우 낮습니다.

그에 비해 성과위주, 능력위주인 상해와 싱가포르인 경우 연봉상승률이 높습니다.

4. 물가

상해에 살면서 개인적으로 서울과 물값이 비슷하다고 많이 느꼈습니다. 그에 비해 싱가포르는 세계에서 제일 물가 비싼 도시 1위로 생활비가 많이 들 것입니다.

5. 집값

월세 원룸 기준으로

서울 : 50~100 상하이 : 100~200 싱가포르: 100~300

우선 서울은 저 정도 가격이면 시내와 가까운 원룸에 들어가서 살 수 있습니다. 상하이 같은 경우 시내에 가까운 원름은 100~200정도 나올 수 있습니다. 만약 다른사람이랑 상관없다면 3인 3실 룸쉐어는 대략 50정도 입니다. 싱가포르는 시내 중심에서 원룸에 사려면 200정도 필요합니다, 룸쉐어한다고 해도 100만원 정도 듭니다.

6. 세금

  1. 대졸 초봉에 비례하여

한국 : 15~24% 상하이: 20~25$ 싱가포르 : 거의 없음

사실 싱가포르는 물가가 비싼 대신 세금을 거의 안냅니다.

7. 영주권

외국인 기준

한국 : 3년후 상하이 : 최소 5년 ~ 10년 이상 싱가포르 : 4년후, 남성은 군복무(2년 2개월)

중국 영주권은 받는 것은 세상에서 가장 어렵다고 한다. 10년이 지나도 못받을 수 도 있습니다. 싱가포르 같은 경우 4년후 영주권 신청 할 수는 권한이 생깁니다. 그러나 남성 같은 경우 무조건 싱가포르에 군 복무를 해야만 영주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영주권이 중요한 이유는 그 나라의 시민들이 받는 복지와 사회 시스템 해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싱가포르 복지가 좋다고 하는데, 그것도 영주권이 있어야 할 수 있는 소리입니다.

싱가포르는 영주권이나 시민권 가진 사람들에게 정부 아파트를 임대해줍니다(그것도 수영장 있는 콘도로). 이것은 월세를 내는것보다 훨 씬싸다. 또한 병원 진료비도 정부에서 어느정도 지원을 해준다.

8. 교육비

자세한 수치적인 데이터는 개인별 케이스에 따라 다르지만 조사하면서 느낀 결과

싱가포르>상해>한국

싱가포르에 영주권이 없다면 자녀 교육비는 사립 월 300만원, 공립 월 200만원 깨진다고 합니다.

Comment  Read more

중국 회사 Anyhelper 헤드헌터 인턴직 면접

|

지인의 도움을 받아 AnyHelper라는 상해에서 활동하는 헤드헌터 회사에 헤드헌터 인턴 면접을 보았다.

Any Helper는 상해교통대 전자공학을 전공한 학생이 창업한 것으로, 현재 상해교통대로부터 투자를 받아 협력관계에 있다.

Wechat 공식 계정에 헤드헌터 직무 인턴직 모집에 지원하게 되었고, 그 다음날 면접을 보게 되었다.

면접에는 한국분과 CEO 분이 들어오셔서 진행이 되었다.

질문

  • 猎头(헤드헌터 직무)에 대해서 아는거 있나
    • 답변 : 모른다.(猎头가 뭔지도 몰랐습니다. 면접들어가기 전까지 ㅠㅠ)
  • 영어는 어느정도 하는가 점수 있나
    • 답변 : 한국은 보통 토익을 시험 보는데 865점이다.
  • 중국어는 어느정도 하는가 점수 있나
    • 답변 : HSK6급 가지고 있다.
  • 한국에서 중국으로 취업하거나, 중국에서 한국으로 취업하려는 사람들에게 어떻게 정보를 제공할 것인가.
    • 답변 : 캠퍼스 리쿠르팅으로 해결할것입니다.
  • 헤드헌터 비슷하게 중간다리 역할 해본 경험이 있나
    • 답변 : 있다. 회사 다닐떄도 있엇고, 학생회 생활하면서 번역 업무를 많이 하였다.
  • 업무를 한다면, 일주일에 두번 포스팅할 수도 잆고 해드헌터 업무도 해야되고, 회사 위챗 계정도 관리해야하는데 할 수 있나?
    • 답변 : 업무량이 얼마나 많은지 몰라서 그러는데 가르켜 주실수 있나.
      • 답변: 일주일에 2번하는데 2시간도 안걸린다. 보통 업무는 4시간이면 다 끝난다.

느낌점

  • 개인적으로 준비를 안하고 상태라 猎头가 헤드헌터라는 뜻이라는지도 몰랐기에 질문을 받았을떄 엉뚱한 대답을 하였다.
  • 또한 본인은 기계공학이 전공이기 때문에, 아마 직무에 어울리지 않는다라는 느낌을 받았다.
  • 또한 Midea의 결과가 진행중이기 때문에, 미리 사장님한테 Midea가 되면 그쪽으로 일할거 같다, 알아달라고 말했다.
  • 즉, 나라는 후보자 말고도 다른 후보자도 고려하라고 말하였다.
  • 말이 너무 많았다, 경험적으로 면접에서 말 많으면 떨어졌다.

Comment  Read more

Midea 가정용 자율주행 로봇 부문 인턴 면접

|

중국에 거주하시거나 가보신 분들은 에어커이나 냉장고, 전자렌지등 한번쯤 보았을 가전제품 브랜드가 있습니다.

바로 Midea(美的) 라는 회사인데요. 얼마나 큰 회사인지는 세계에서 로봇 1,2위를 다투는 독일의 KUKA회사와 도시바의 생활가전 부문, 세계 최초 에어컨 만든 회사 Carrier을 자회사로 가지고 있는 회사입니다.

오늘 Midea 회사 지원 및 인턴 면접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1. Linkedin 지원

Linkedin에 검색어 Robot, 지역 Shanghai China, Level : internship and Entry 을 검색하여서 지원하였습니다.

2. 전화 면접

지원하자마자, 하루-이틀 지나서 바로 인사담당자와 전화로 면접을 하였습니다.

주요 질문은

  • 얼마나 오래 할 수 있나?
    • 답변 : 최소 3개월 할 수 있습니다.
  • 일주일에 몇번 올 수 있나?
    • 답변 : 3번이 좋은거 같습니다.
  • 주변에 혹시 비슷한 프로젝트를 하는 친구가 있으면 소개시켜주라
    • 답변 : 알겠다.

3. 실무 면접관 화상 면접

그 다음날 바로 화상 면접이 진행 되었습니다. 실무 담당자 2명이 있었습니다.

  • ROS 할 줄 아나
    • 답변 :ROS와 Gazebo 시뮬레이션 다 할 줄 안다.
  • C++ 할 줄 아나
    • 답변 :모든 프로그램은 C++이나 Python으로 작성하였다.
  • SLAM을 개발하면서 힘든점이 있었나
    • 답변 : Object Detection과 ORB-SLAM2를 융합해야되는데, 그 융합하는 과정이 어려웠다.
  • 프로젝트 기간은 어떻게 됐나
    • 작년 3월부터 10월까지였다.
  • 학회 논문을 하는데 얼마나 걸렸나
    • 작년 12월에 시작하여서 3월에 마무리 하였다.
  • 혼자 프로젝트 하였는가
    • 프로젝트 끝나고 10월부터는 혼자하였다.

4. 내가 질문한 것들

  • 중국 회사들은 996라고 들었던거 같다. 아직 학생이라, 일에 완전이 집중 못할거 같은데 부서의 분위기를 알고 싶다
    • 답변: 평등한 분위기 이다.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업무할 수 있다. 업무시간은 9시부터 6시까지이다.
  • 내가 들어가는 부서는 어떤 로봇을 개발하나
    • 가정에 들어가는 로봇을 개발할 것이다.
  • 위치는 어디인가
    • 国家会议中心 근처 이다.
  • 부서에 외국인 친구 있는가
    • 없다. 다만 외국에서 공부하다가 온 중국인 있다.
  • 어떤 임무를 하는지 구체적으로 가르쳐 줄 수 있는가?
    • 자세한 업무 내용은 정리하여 메일로 보내주겠다.

느낀점

인턴을 뽑는 것이라 그런지 기술에 대해 그렇게 자세하게 물어보지는 않았습니다. 오히려 해당 직무에 경험이 있는지 확인 여부만 하였습니다.

  • 何时라는 단어를 몰라 면접관이 프로젝트 언제 시작했냐고 물어보는 질문을 이해하지 못하였습니다. 아마 마이너스 요소가 되었음 느꼈습니다. (아무래도 중국어로 같이 일하면서 보고도 해야되는데, 소통에 문제가 될 수 있다라는 요점을 남겼습니다.)

Comment  Read more

80. House Robber[중간]

|

Step 1:- [Defining the States of DP]

Here state of dp[ i ] is maximum amount that can be robbed from 0 to i-th houses and at the same time i-th house must be robbed.

Step 2:- [Identifing the Base Case for the solution]

Initializing dp[ 0 ], dp[ 1 ], dp[ 2 ] values.

Step 3 :- [Identifing the Relation between the dp States and framing an Equation]

//robbing i-th house can be done by 2 case,

case 1 : just neglecting i-1 th house and rob i-th house (neglecting last one house) OR case 2 : neglecting both i-1 th house, i-2 th house and rob i-th house (neglecting last 2 houses)

dp[ i ] = max( dp[ i - 2 ], dp[ i - 3 ] ) + nums[ i ] ;

BECAUSE for example consider 100,1,2,100. then answer = (100 + 100) 0-th and 3-rd houses are robbed. for robbing 3rd house (i.e for dp[ 3 ]) ,here, neglecting last 2 houses leads to answer[200].

class Solution {
public:
    int rob(vector<int>& nums) {
        int n=nums.size();

        if(n==0) return 0;  //if their are no houses

            else if(n==1) return nums[0];	//only one house

                else if(n==2) return max(nums[0],nums[1]);   //only two houses

        int dp[n];  //for more than two houses

        dp[0]=nums[0];  dp[1]=nums[1];  dp[2]=nums[0]+nums[2];

        for(int i=3;i<n;i++)
        {
            if(dp[i-2]>dp[i-3])     //neglecting only 1 previous house.
                dp[i] = dp[i-2] + nums[i];
            else                          //neglecting previous 2 houses (as explained in example).
                dp[i] = dp[i-3] + nums[i];
        }
            return max(dp[n-1],dp[n-2]);
    }
};

Comment  Read more